근데 스킨영역의 파일은 어떤 파일들이고 개발영역의 파일은 또 어떤 파일인지 잘 모르겠네요..
스킨이 template 폴더에 들어있는 *.tpl 파일이라면 *.tpl파일에서도 템플릿언더바 레퍼런스들로 프로그래밍 되어야 하는데...
그럼 디자인과 프로그램의 분리가 아닌것 같구요...
그것도 그렇지만 php로 개발해야 하는 부분도 있어야 할것 같구요..
다른 사람들 보면 개발 부분의 폴더와 스킨 폴더가 똑 같은 이름으로 따로 쭉 있더라구요...
어지간 하면 초보적인 개념은 제가 터득해 보려고 2틀째 계속 보고 검색도 해 봤는데... 모르겠습니다.... ㅡㅡ;
딴 사람들은 저 같은 질문을 한 사람이 없는데...
제가 정말 무식한건지.. 약간 제 머리에 대해 의구심과 회의가 밀려옵니다...
아주 간단한 프로그래밍 예제를(스킨과 개발이 분리된) 볼 수 있다면 제가 파악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수 있을것 같네요.. 훌쩍...
관리자
네.. 설명서는 그 정도 보셨으면 됐습니다.
템플릿을 사용하든 안하든 웹에서 접근할 필요가 없는 파일은 웹루트 바깥쪽으로 보통 뺍니다. 템플릿 파일의 경우, 웹루트 안쪽에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설명서에는 편의상 php 파일과 템플릿 파일을 1:1 대응하게 했는데, 보통 웹서버 설정을 통해 모든 리퀘스트를 하나의 php 파일이 받고, php 파일내에서 url 을 해석해서 해당 로직을 호출하게 됩니다.
개발 유지 보수가 편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변경될 가능성이 많은 뷰(html js css) 부분을 php로부터 떼어낸다는 것이 핵심이고, 구체적인 정책은 사용하시는 분들 각자의 경험에 맞긴 것입니다. 헤더 바디 푸터 같은 레이아웃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 등등 가장 일반적이고 정답에 가까운 것을 제공하면 좋겠지만 좀 어려운 일이네요.
08-09-22 14:02
초보준비
다 이해 되지는 못했지만 일단 방향제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나머지는 시간을 두고 제가 터득해 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08-09-22 17:37
관리자
템플릿엔진을 쓰든 안쓰든 뷰를 분리하려다 보면 전체구조는 비슷하고, 간단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면 도움이 될겁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