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용/비사용 설정으로 사용시와 비사용시의 차이점은 메시지가 _compile체크할대 에러가날경우 메세지를
/// 템플릿언더바에서 보여주느냐 혹은 php에러메시지가 나오느냐 차이?
/// 컴파일된 파일의 체크.
/// dev 로 지정하면 템플릿파일 갱신여부와 관계없이 무조건 변환(개발시 필요해보임 무조건 컴파일 실행함)
var $compile_check = true;
/// 컴퍼일 되는 파일이 저장되는 폴저 지정
var $compile_dir = '_compile';
/// 컴파일된후 저장되는 확장자명
/// 가령 index.html -> 컴퍼일하면 index.htm.php 파일로저장 설정된 확장자명으로 저장됨.
var $compile_ext = 'php';
/// _template 폴더에 스킨을 지정하여 사용할경우 경로 설정을 변수처리
var $skin = '';
// true 이면 템플릿변수를 할당하지 않았을 때 메세지를 출력합니다.
var $notice = true;
//$template_dir 과 $compile_dir 등을 절대, 상대 경로로 자주변경할 경우 혹시나 있을지 모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path_digest=true 일 경우 변환파일을 @digest 밑에 저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var $path_digest = false;
// template 폴더의 지정
var $template_dir = '_template';
//$prefilter = 'adjustPath'; 이렇게만 하면 됨 (가상호스트도 별도의 설정이 필요없음)
// 어느목적으로 쓰는지 모르겟음
var $prefilter = '';
var $postfilter = '';
//// 변환파일과 캐쉬의 퍼미션설정
var $permission = 0777;
//$safe_mode 속성 추가.
//이 속성은 커뮤니티 관리자, 블로그 회원 등이 직접 템플릿을 수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 할 때,
// 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막기 위한 옵션입니다.
//$safe_mode 가 true 일 경우.. 템플릿내에서 템플릿전역변수(this, 자동전역변수 포함) 및
//PHP 코드 사용이 불가하며, 함수는 플러그인 디렉토리 내의 functions.safe_mode.ini
// 파일의 목록에 포함된 것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var $safe_mode = false;
//// 모름
var $auto_constant = false;
//// 캐쉬기능사용여부 설정
var $caching = true;
/// 캐쉬파일이 저장되는 폴더
var $cache_dir = '_cache';
/// 소스파일에서 $tpl->setCache('index'); // update per 1 hour // 에서 시간을 지정안할경우 아래의 시간속성을따라감.
/// $tpl->setCache('index',1000); 옆과 같이 지정할경우 아래의 속성과 상관없이 이부분만 따로 캐쉬파일 갱신
var $cache_expire = 3600;
/// 설명서 5-23 스코핑같은데 속성사용은 true/false인지;;;
var $scp_='';
###################################################################
게시판 검색과 설치하여 테스트해본결과 속성에 대한 변경이 어느부분이며 좀 찾아봤는데
var $prefilter = '';
var $postfilter = '';
var $auto_constant = false;
var $scp_='';
위 4가지의 속성은 어느목적인지 어느부분으로 인해 사용하는건지 모르겠더군요
프리필터랑 포스트필터는 설명서 중간에 보니 상대결로/절대경로 ~~~ 하는거 하면서 설명은있는거같습니다.
기본으로 빈값이 있으니 사용법두 --ㅋ 잘모르겠네요;;
대략 관리자님이 답변달은내용을 적어놓은것도 있구요
제가 직접 서술해놓은부분도 있네요 ;;
저 4가지에 대한 사항에 대한 설명만좀 부탁드립니다.
설명서에있는거 제가 못찾은거면 제가 바보 --;; 겟죵;;;;
그럼 즐거운주말보내시기 바랍니다.~ |